有와 無 사이 중도에 사물의 본성 켜켜이

세계일보

비유비공(非有非空). 실상은 있지도 아니하고 없지도 아니한, 유(有)와 무(無)의 중도라는 뜻이다. 어느 한 곳으로 치우치지 않는 작가 박석원의 조각이 이와 닮아있다. 1980년대 전후로 시작된 그의 ‘적의(積: 쌓을 적, 意: 뜻 의)’ 시리즈는 돌이나 스테인리스, 나무를 기하학적으로 절단하고 다시 쌓아 올리는 ‘축적’ 행위가 조각 전면에 나타난다.

 

“조각은 근본적으로 자연과 인간의 관계 미학”이라고 언급한 작가는 자연의 모습을 구현하는 전통 조각의 관습에서 벗어나 ‘절단’과 ‘축적’이라는 자신만의 고유한 방법으로 새로운 한국 추상조각을 구축했다. 단순한 형태를 띠는 그의 조각은 재현적 요소를 차단해 재료 본연의 물성과 구조를 강조하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 더 나아가 실존의 문제에 직면한다.

 

한국의 돌탑이 지닌 조형적 특성을 현대 추상조각에 연결 지어 한국 추상조각의 방향을 모색한 그의 의지는 한지라는 소재를 통해서도 성큼 발전한다. 축적과 반복의 개념은 기하학적으로 절단된 한지를 수평 수직으로 중첩시킨 평면으로 확장되며, 구체적인 형상을 드러내기 위한 매개체가 아닌 한지 자체의 물성을 강조한다. 이는 재료를 절단하고 재조립함으로써 본연의 물성을 나타내는 조각의 연장선이다. 조각가로서 물질을 입체적으로 바라보고 그것을 분화하는 본능이 평면작업으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January 18, 2024
of 158